목록심리상담 (3)
심리학 정보 나누기

저는 전문상담사 자격증 준비중입니다.그 중 필기 시험의 한 과목인 ' 상담 이론과 실제' 이 부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.전문상담사 필기 시험은 2025년 8월에 있을 예정입니다. 책, 학지사 '상담의 실제 과정과 기법' 이규미 저 의 내용입니다.제 3장 공감1. 라포의 형성과 공감- 상호 신뢰와 협조, 친밀감을 바탕으로 상담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는 촉진적인 인간관계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, 전문용어로는 라포(rapport)가 형성되었다고 말한다.- 치료를 위해 형성된 관계적 요소를 작업동맹(working alliance)이라고 한다.- 전문적 상담자는 섣불리 전문적 처방이나 해석을 내놓기보다 내담자로부터 많이 듣고자 하며 내담자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노력한다...

이 장에서 소개하는 기법은 내담자에게 존중과 수용을 나타내고 내담자와 신뢰를 형성하고 상담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로, 상담초기 뿐 아니라 중간, 종결과정 내내 상담대화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들이다. 1. 주의기울이기와 관찰1) 주의기울이기 내담자에게 주의기울이기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의미가 있는 기술이다.1) 상담자의 수용과 격려를 전달하는 행동2) 상담자가 내담자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구하기 위해 취하는 행동, 정확하고 객관적인 관찰에 도움된다. * 상담자의 주의기울이기 행동 목록(1) 눈 접촉: 바라보는 것은 관심의 표현이며, 내담자는 이를 통해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전달 받고 상담자의 다양한 눈 표정을 통해 비언어적 격려, 강조, 촉진의 메시지를 읽는다. (2) 개방적인 ..

1. 상담의 정의미국상담협회(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: ACA, 2010)는 상담을 "다양한 개인, 가족, 집단을 도와 정신건강, 건강한 삶, 교육적 그리고 직업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 관계"로 정의하고 있다. 미국심리학회 내 상담분과에서는 상담심리학을 "전 생애 동안 개인의 기능 및 대인관계 기능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두는 심리학의 전문영역으로, 특히 정서적, 사회적, 직업적, 교육적 건강과 관련된, 발달적 그리고 조직적 관심사를 다룬다."고 정의하고 "상담심리학의 실제는 사람들이 삶 속에서 웰빙을 향상하고,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감소시키고, 위기를 해결하며, 더 잘 기능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넒은 범주의 실무를 포함한다."고 덧붙..